행정안전부에서 지역개발채권 미환급금을 상환해준다는데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역 개발채권이란 주민이 자치단체에 자동차 등록을 하는 경우와 각종 인허가를 받는 경우일때,자치단체와 공사,용역,물품계약을 체결할 경우등에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다 필요없고 이것만 기억하세요!

자치단체에 자동차를 등록하면 우리가 의무적으로 채권을 매입하게 됩니다!
ex) 배기량 2000CC미만의 2천만원짜리 승요차를 구입했다 치면 서울 기준 차량가액의 12%인 240만원의 채권을 매입하게됩니다.(지역별로 차량가액의 퍼센트가 달르니 이건 한번 각자가 자기가 등록한 지역의 차량가액 퍼센트를 알아보세요.)
강원은 차량가액의 8%인 160만원, 인처/대전은 차량가액의 4%인 80만원의 채권 매입한다고 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우리가 차량을 등록할 때 이돈을 낸다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이 채권이 5년에서 7년 정도 후 만기가 도래되는데 이 때,만기 시 이자를 합한 금액으로 환급받을수 있습니다!
즉,차량을 구매한지 5년~7년정도 되신 분들은 이자가 쌓인 채권을 환급받을 수 있다!
이 말입니다.그러니깐 차량이 구매하시고 5년이 지나셨다면 이 채권을 환급받으세요!
이런 꿀정보를 우리는 모르고 있어서 매년 20억정도 되는 채권이 그냥 소멸된다괴 하니 제 글을 보신 구독자분들은 꼭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돈은 꼭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채권 환급 온라인 상환 방법
1.지역별 환급 신청 은행 확인
2.해당 은행 홈페이나 앱에 로그인 후 주민번호 입력 후 환급금 조회를 해 주시면 되십니다.
3.신청할 환급금을 선택 후 환급정보확인 후 신청하기를 눌르면 끝
인터넷이나 모바일이 어려우시면 그 지역별 금고은행에 가셔서 오프라인으로 하시면 되십니다.
혹시나 5년이 지났는데도 조회를 해 보니 채권이 없다면, 아마 즉시매도를 하셔서 이기때문일겁니다.
채권가격이 부담스럽거나, 상환일을 챙기지 못할 것 같을 때, 즉시매도를 선택하셨다는 겁니다.

말이 어렵지요?
쉽게 말해서 차량 등록하실 때 채권 안 들고 있고 그냥 바로 매도 해버린 경우는 받으실 돈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도 5년 전의 나 자신을 믿으면서 한번 채권이 있는지 없는지 조회정도는 해보길 강력추천 드립니다.
'Car p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부터 운전하실 때 참고하세요. (0) | 2023.01.07 |
---|---|
위택스 자동차세 연납 신청 하고 납부하는 방법 (0) | 2023.01.06 |
부자들이 제네시스를 선택하는 이유 (0) | 2023.01.04 |
자동차 엔진오일 편하게 교체하는 방법 (0) | 2023.01.03 |
운전자 벌점 소멸 시키는 법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