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 pure

운전자 벌점 소멸 시키는 법

by PureKim 2023. 1. 2.
반응형

운전을 하게 되면 과태료와 범칙금이라는 걸 알게 되는데요.
과태료는 운전자가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는 경우나 무인단속카메라로 적발된 경우에 해당하며, 오직 돈으로만 징계를 받는 것이고요. 범칙금은 교통법규를 위반한 현장에서 현장적발이 된 경우에 해당되며, 법규 위반 당시 운전자를 처벌하는 것이기 때문에 벌점까지 받는 것입니다.

운전자를 알 수 없으면 과태료를 받고 운전자를 알 수 없으면 범칙금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를 알았는데요.
혹시나 집에 과속을 했다고 속도위반 고지서가 오신 적이 없으신가요?
과태료랑 범칙금 중에 선택해서 납부할 수 있고, 딱 보니깐 범칙금 납부 시 금액이 더 싸서 범칙금 납부로 선택을 하게 되면 이건 내가 위반 운전자라는 걸 인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범칙금과 벌점과 보험료 할증이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벌점이 쌓이면 왜 위험하냐면  벌점이 40점 이상부터는 면허정지 처분을 받기 때문입니다.
벌점 1점당 1일로 치고 벌점 40점이면 40일 동안 면허정지 처분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게 계속 쌓여서 1년 이내로 121점이 넘는 벌점이 생기거나 2년간 201점, 3년간 271점을 받게 되면 면허취소 처분을 받게 된다고 하는데요.

벌점이 40점 이상 되면 이 벌점이 누적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40점 미만일 때는 벌점 받은 날을 기준으로 1년이 지나면 벌점이 소멸되지만, 40점 이상부터는 소멸 시간이 3년으로 늘어나버리는데요, 지정차통행위반 벌점 10점, 신호 및 지시 위반 15점, 중앙선침범 30점, 이런 것들이 쌓여서 정말 면허취소 처분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운전자라면 벌점관리를 학점관리를 하듯 신경을 써 주셔야 합니다.

벌점 소멸 시키는 법

1. 착한 운전 마일리지
1년 동안 법규위반과 사고 없이 운전을 했을 때 지급해주는 마일리지입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는 10점을 부여합니다. 이 마일리지는 어떻게 신청을 하냐면 '교통민원 24'라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메인 화면에 있는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을 눌러주시면 되십니다. 본인 인증을 완료 후 다시 한번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을 눌러주면 마일리지 신청이 완료된 것입니다.
혹시 인터넷으로 하는 게 어려우시면  면헌증을 들고 주변 경찰서나 지구대, 파출소에 방문해서 신청을 하시면 되십니다.

2. 특별교통안전교육
벌점 40점 미만의 운전자라면 특별교통안전 교육 중에 벌점 감경 교육을 수료하고, 교육필증을 경찰에 제출하면 20점이나 감경을 해준다고 합니다. 수강신청하는 법은 본인명의 핸드폰으로 국번 없이 182번을 누르면 된다고 합니다. (수강료 24000원)

3. 도주차량 신고
벌점을 40점이나 감경을 해주는데요.  인적피해를 낸  도주차량을 신고하거나 직접 검거할 경우 특혜점수로 40점을 주는 제도인데요. 실제로 실천이 어려우니 이런 게 있다고만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