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입 전기차 보조금 최대 20% 축소
배터리 성능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지급한다? 2023년 바뀌어버린 수입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후 관리 시스템에 따라 보조금이 차등 지급이 된다고 하는데 크게는 이렇게 나뉘어집니다. 직영 정비센터가 있는지,정비이력 전산화가 있는지에 따라 최대 20%까지 보조금이 깎일수 있다고 합니다.
국내의 수입전기차의 경우 대부분이 직영이 아닌 협력사 운영인데 이러면 머 무조건 받는돈 깎이는거죠.
전기버스같은 경우는 배터리 특성에 따라 보조금이 최대 30% 줄어들고,중국산 전기버스는 자체적으로만 배터리를 인정하는 경우도 있어서 , 이제 공인기관 안전인증 보조금 300만원 및 여러가지 보조금을 못받게됩니다. 앞으로 국산과 중국산의 전기버스 보조금 차이는 최대 2000만원이 넘을 전망이라고 합니다.
버스는 머 우리랑 상관없고 승용차에 대해 알아봐 볼까요?

전기 승용차 보조금
전기 승용차는 보조금 상한액을 모두 받을 수 있는 차량가격이 5700만원으로 책정되어, 5700만원 미만의 전기 승용차는 보조금을 전액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보조금을 받을 수 없는 고가의 전기 승용차의 가격은 8500만원 이상이고,중대형 차량은 최대 680만원까지 보조금이 나온다고 합니다.
추가로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이 전기화물차를 구매시 보조금을 30% 더 받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화물차는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횟수가 기존 2년에 한번에서 5년에 한번으로 바뀌었습니다.
이건 머... 조삼모사도 아니고... 아무튼 2023년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Car p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출시 되는 현대자동차 소식 (0) | 2023.02.09 |
---|---|
이제 개인적으로 법인차 몰고 다니면 바로 걸립니다! (0) | 2023.02.03 |
자동차 마력과 토크의 정확한 뜻 (0) | 2023.02.02 |
충돌 사고시 가장 안전한 자동차 Top10 (0) | 2023.02.01 |
진짜 지금 중고차가 가장 쌀까?? (0) | 2023.01.31 |